📘 전기철도기술사 뿌수기/기출문제 해설
(134-1-9) 전기철도 AT 급전방식 통신선 유도장해 저감 원리
인생은레일로
2025. 3. 25. 10:10
반응형
1. 개요
- AT(Auto-Transformer) 급전방식은 급전선과 전차선 사이에 약 10km 간격으로 AT(단권변압기)를 병렬로 접속하여 변압기 권선의 중성점을 레일에 접속하는 방식
- 고속전철 등 장거리 급전에 사용되며, 송전손실을 줄이고, 전압 강하를 보완하는 시스템이다.
2. 유도장해 발생 원리
- 철도 전원은 단상 교류 25kV를 사용하며, 이때 선로 전류가 통신선에 전자 유도(자기·정전 유도)를 일으켜 잡음, 감쇠, 신호왜곡 등을 유발한다.
- 유도장해는 정전유도(전압 차로 인한 정전기장)와 자계유도(전류 변화로 인한 자계 변화)로 나뉜다.
3. AT급전방식의 유도장해 저감 원리
- 전차선과 급전선이 AT 중성점을 기준으로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전류가 흘러 유도 작용이 서로 상쇄
- 부하 전류는 인접한 양쪽의 AT로 흡상 및 분리되어 통신선에 영향을 주는 순환전류가 감소되어 유도장해 저감
4. 결론
- AT급전방식은 통신선 유도장해를 본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지님
- 이는 철도 안전성 향상 및 통신 품질 확보에 크게 기여
- AT 급전방식 간략도
반응형